투자32 CCL 카니발 크루즈 11월 70% 상승에 대한 생각 정리 2020년 11월, 카니발 크루즈(CCL)는 70% 이상 상승하면서 최고의 한 달을 보냈다. 하지만 연간 누계 YTD로 보면 여전히 54% 하락한 지점에 있다. 10월 8일 카니발의 거래 업데이트에 따르면 2021년 하반기 예약이 과거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코로나 사태가 끝나면 여행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다는 점을 시사하는 발표였다. 또한 화이자, 모더나 백신 3상 임상 소식이 전해지면서 카니발 주식은 23달러까지 상승했다. 나 역시 11월 중 카니발을 17.75달러에 매수했고, 현재 32.11%의 계좌상 수익이 발생했다. 아직 확정 수익이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경계감을 가지고 보려고 한다. 12월 중순에 다음 분기 보고서가 발표된다고 하니 지켜보면서 결정을 해볼 생각이다. 카니발(CCL) 뿐만 .. 2020. 12. 6. 달러가 너무 떨어져서 시장 초과 수익을 내지 않으면 손해가 나는 거 같다. 원화가 초강세이다. 어제도 거의 1% 폭락했다. 무시무시한 속도이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데, 수익이 나도 원화 강세 때문에 손해가 나는 상황이 생긴다. 나뿐만 아니라 미국에 투자하고 있는 많은 투자자들이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을 것 같다. 특히 올웨더와 같은 자산 배분 전략으로 투자하는 경우 달러 기준 수익이 나도 원화 기준으로는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루다 투자일임에 8월 11일부터 오늘까지 116일 투자하고 있다. 달러 기준으로 3.42% 수익이 났지만 원화 기준으로는 -3.87% 손해가 발생했다. 해석해보면 지난 116일 동안 원달러가 7% 이상 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원화를 보유한 것 자체가 수익을 주는 상황이었다. 달러 통화를 기초로 한 자산 배분 전략이 현상황에서는 매우 불리하다.. 2020. 12. 5. 영국 재무부 장관 리시 수낙, "코로나로 인한 경기 충격 오래 지속될 것" 코로나19로 인해 영구 경제는 2020년 11.3% 수축했다. 2021년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이 되지만 영국 경제가 코로나 이전 상태로 복귀하는 시기는 2022년 말로 예상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코로나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서 3940억 파운드라는 역사적인 규모의 부채를 얻었다. 영국 재무부 장관 리시 수낙은 코로나로 인한 경기 충격이 꽤 오래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Spending review: Chancellor warns of 'lasting' damage to UK economy Official forecasts warn the UK economy will shrink 11.3% this year due to the impact of the virus. www.bbc.com 2020. 11. 25. 다우지수 3만 포인트 돌파. 미국 선물 시장 하락. 어제 미국 시장이 폭등했다. 다우지수는 역사상 최고치인 30000 포인트를 돌파했다. 이제 어떻게 될까? Stock Futures Pause After Dow’s 30000 Milestone U.S. stock futures wavered a day after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breached 30000 points for the first time, and as investors looked ahead to a packed day of economic data. www.wsj.com 월스트리트 저널은 다우지수가 30000 포인트를 찍은 후 미국 선물 지수가 멈춰 섰다는 기사를 썼다.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될까? 알 수 없는 일이다. 다우지수 중심으로 시장이 상승.. 2020. 11. 25. 11월 22일 관심 가치주 SPG(Simon Property Group) 저평가된 자산에 관심을 가져보려고 한다. 오늘 눈에 들어온 것은 SPG, Simon Property Group이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고 있는 리츠 중에 하나이고, 3월 코로나 충격 이후 아직 바닥에서 기고 있는 종목이다. 아직까지 바닥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SPG가 리츠 중에서 대표적인 컨텍트로 분류되는 종목이기 때문이다. Simon Property Group 미국 최대의 몰 운영기업이다. 코로나 사태에서도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망해가고 있는 다른 몰 운영기업들과 Brooks Brothers와 Lucky Brand와 같은 리테일업체까지 인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주가는 매우 디스카운트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배당 수익률도 7%에 달하는 상황이다. 백신 소식이 전해지면.. 2020. 11. 22. 미국 리츠 AMT(American Tower Corporation) 2020년 11월 말. 가치주를 찾아보고 있다. 좋은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것들을 찾아서 투자해보려고 한다. 대부분의 자산은 영구 포트폴리오와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투자를 했다. 나머지 작은 부분을 가지고 소위 가치투자를 해보려고 한다. 올웨더나 영구 포트폴리오는 마음이 편한 것 같다. 현금성 자산의 90%를 올웨더와 영구 포트폴리오에 투자했다. 올웨더는 이루다 투자일임을 통해 투자했다. 8월 미국 나스닥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찍었을 때 투자를 했고, 현재 수익률은 2.6% 정도 writa.tistory.com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종목에 대한 공부가 꼭 필요한 것 같다. 미국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은 리츠들부터 하나씩 살펴보려고 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그중에서도 가장 거래량이 많은 리.. 2020. 11. 22. 올웨더나 영구 포트폴리오는 마음이 편한 것 같다. 현금성 자산의 90%를 올웨더와 영구 포트폴리오에 투자했다. 올웨더는 이루다 투자일임을 통해 투자했다. 8월 미국 나스닥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찍었을 때 투자를 했고, 현재 수익률은 2.6% 정도 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달러 기준이다. 원화 기준으로 하면 마이너스 수익률인 것 같다. 최근 시장이 위아래로 요동치는 중에도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그 진폭이 적다. 그래서 계좌를 거의 확인하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현금성 자산은 마켓타이밍을 잡아볼까하는 생각에 현금으로 보유 중이다가 최근 영구 포트폴리오로 모두 투자했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주식, 채권, 금, 현금에 각 25%씩 투자하는 포트폴리오이고, 1년에 한 번씩 리벨런싱을 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직접 투자해보기로 했다. 영구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수 있는.. 2020. 11. 21. 화이자 백신 3상 중간 발표에 반응하는 11월 자산 시장 나는 아무리 봐도 도대체 어느 쪽으로 튈지 잘 모르겠다. 화이자 코로나 백신 3상 중간 발표 이후, 그동안 죽을 썼던 컨텍트주들이 어제 급등을 했지만 그 상승이 과연 오늘도 이어질지 알 수 없다. 오늘 한국 시장만 봐도 지난 밤 미국 시장의 흐름이 동일하게 반영되지 않았던 느낌이다. 채권 시장은 망했다는 느낌으로 흘러내리는 것 같다. 원유는 코로나 이전 시대 이전을 꿈꾸며 오르는 듯했지만 엄청난 상승은 보이지 못했다. 금은 갈 길은 잃은 모양이다. 주식 시장에서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컨택트주 중심으로 상승을 하면서 나스닥은 그야말로 떡락을 하고 있다. 선물 시장의 반응을 보니 오늘까지도 그런 흐름은 이어질 것 같다. 하지만 그 뒤로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것 같다.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사람들.. 2020. 11. 10.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게으른 자산 분배 간략 요약 Growth-Trend Timing and 60-40 Variations: Lethargic Asset Allocation (LAA) by Wouter J. Keller :: SSRN 15 Pages Posted: 15 Dec 2019 Last revised: 22 Jan 2020 Abstract Growth-Trend (GT) timing from Philosophical Economics is a brilliant timing strategy which only signals a bear market when both the trend in the unemployment (UE) rate and the SP500 index are papers.ssrn.com Wouter J. Keller가 2020년.. 2020. 10. 3. 주식, 지금은 던지는 게 맞아 보인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뇌피셜이다. 기본적으로 투자는 수익이 크면 좋다. 하지만 너무 욕심을 부리면 십중팔구 화를 부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는 지키는 게 훨씬 중요하다. 주식은 떨어질 때 더 빠르고 강하기 때문이다. 상승장에서는 대부분 천천히 야금야금 오른다. 하지만 하락장에서는 우장창 깨진다. 이건 지난 역사를 보면 누구나 알 수 있다. 현재 미국 S&P500 지수는 100일 이동평균선의 서포트를 받고 있다. 그런데 왠지 이 지지선을 뚫어버릴 것만 같다. 진동 지표들이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특히 관심 있게 보고 있는 지표가 RSI이다. 과매수 구간과 과매도 구간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과매수 구간에서는 수많은 호구들이 주식을 산다. 기대를 갖고 사지만 결국 상투이다. 과매도 구.. 2020. 9. 2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