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원화 차트이다. 8천만 원까지 올랐던 비트코인은 4천만 원 초반에서 거래되고 있다. 불과 한 달만에 반토막이 났다는 사실이 고무적이다. 2021년 새해 들어서 과매수 구간을 3번 지나서 엄청난 상승을 했고, 이제 첫 번째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다.
재미있는 점은 2021년 첫 번째 과매수 구간에서의 가격인 현재 가격인 4천만 원이었다는 점이다. 즉, 오를 때는 세 번 힘을 주어 올랐지만 떨어질 때는 한 번에 떨어졌다는 말이다. 역시 하락에는 날개가 없다.
RSI로 보면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 있는 시점이 되었다. 하지만 칼을 길게 잡을 시점은 아닌 것 같다. 매수 타이밍을 노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 같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이 튀어 오르겠지만 다시 하락을 할 것 같다. 기술적으로는 그렇게 보인다.
주변 환경도 그런 베어리쉬한 생각을 들게 한다. 중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가들이 비트코인과 암호 자산에 대한 규제와 금지를 강화하고 있다. 화폐 패권을 쥔 중앙은행들이 그 패권을 탈중앙화 된 암호 자산으로 넘길 가능성은 없다. 결과적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패권을 쉽게 내어주지는 않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화폐의 탈중앙화를 지지하지만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한다.
이런 현상을 반영하는지 요즘에는 암호화폐라는 말대신 암호 자산이란 말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화폐로써의 역할은 이미 포기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중앙은행이 디지털 화폐를 발행한다면 당연히 탈중화화된 암호화폐는 도태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투자자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과매도 구간인 현 시점은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 있지만 절대 길게 보지 말고 짧게 치고 빠질 때인 것 같다.
만약 고점에서 매수했다면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만약 그 돈 없이 살 수 있다면 10년이고 버티며 된다. 그러면 기회는 다시 올 것이다. 하지만 기다리는 동안 미쳐버릴 것이다. 만약 그 돈 없이 버틸 수 없다면 단기적인 상승이 올 때 탈출하는 게 나을 것 같다.
물론 매우 개인적인 생각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부동산 투자로 부자가 되는 방법 (0) | 2023.02.18 |
---|---|
대한민국의 출산율이 지금처럼 낮으면 30년 후 대한민국의 경제 상황은 어떻게 될까? (0) | 2023.02.18 |
경매 권리분석 - 임차인의 선순위 대항력 (0) | 2021.05.09 |
누구나 할 수 있는 주식 투자 필승법 (0) | 2021.04.19 |
40대의 제태크, 평생 할 수 있는 일 만들기 (0) | 2021.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