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성경은 어떻게 쓰여졌는가? 성경의 정경화

by what if 2024. 3. 7.
728x90
반응형

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복잡하며 여러 세기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정경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경이 어떻게 현재의 형태로 정립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과정은 다양한 역사적, 신학적,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구약성경의 정경화

구약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BC 1400년경 모세 오경의 기록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구약성경의 책들은 이스라엘의 역사, 예언, 시편, 지혜 문학 등 다양한 장르를 포함하며, BC 5세기경에 이르러 대체로 완성되었습니다.

  • 토라(모세 오경): 초기 유대인 공동체의 법, 전통, 역사를 담고 있으며, 정경화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 예언서: 주로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이 남긴 기록으로, 신의 뜻과 백성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기타 문서(시편, 지혜문학 등): 시편, 잠언, 전도서 등의 문서들은 유대인의 신앙생활, 지혜, 경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BC 3세기경, 알렉산드리아에서 구약성경은 헬라어로 번역되었으며, 이는 후에 "70인역(Septuagint)"으로 알려지게 됩니다. 이 헬라어 번역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유대교에서 구약성경의 정경은 BC 1세기 말에서 AD 1세기 초, 야브네에서 열린 학자들의 모임에서 대체로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경에 대한 합의는 지역과 전통에 따라 달랐으며, 일부 책들의 정경성은 계속해서 논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신약성경의 정경화

신약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1세기 초 기독교가 태동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신약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가르침,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역사와 서신을 담고 있습니다.

  • 복음서: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기록한 네 권의 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가 중심을 이룹니다.
  • 사도행전: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확장과 사도들의 활동을 기록합니다.
  • 서신: 바울 서신을 포함한 여러 기독교 지도자들의 서신들은 초기 교회의 신학과 윤리를 다룹니다.
  • 요한계시록: 종말론적 비전과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입니다.

신약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2세기부터 4세기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여러 복음서와 서신들을 교회 예배와 교육에 사용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부 문서들은 널리 받아들여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문서들이 신약성경의 일부가 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합의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AD 367년,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아타나시우스가 27권의 신약성경 목록을 처음으로 명시했으며, 이 목록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신약성경과 일치합니다. 그 후, 여러 교회 회의와 학자들의 논의를 거쳐, AD 397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현재의 신약성경 27권이 정경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정경화 과정의 의미와 영향

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단순한 문서의 선택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과정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신앙과 신학을 형성하고, 교회의 교리와 전통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정경화된 성경은 기독교 신앙의 기초가 되며, 수세기에 걸쳐 신자들에게 영감과 지침을 제공했습니다.

 

성경의 정경화는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신학적 요인이 상호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성경이라는 공통된 신앙의 토대 위에 단합되었으며, 이는 기독교가 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